🌐 network | February 20, 2021
네트워크란?
네트워킹이란 서로 연결해주면서 같은 프로토콜(TCP/IP)을 사용하는 것
인트라넷은 특정 그룹만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내부 네트워크)
엑스트라넷은 인트라넷에서 파트너와 일부 고객까지 추가되어 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는 인터넷 회선을 제공해주는 회사(SK, KT 등등)
회선 속도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회선속도는 56k, 128k, 256k, 512k T1, E1, E3가 있다. 요즘 나와 있는 모뎀 대부분이 56k를 지원하는데, 56k란 정확히 1초에 56,000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글 한 글자가 보통 2Byte라고 했을 때 1초에 약 3,500글자를 보낼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이 속도가 다 뜨는 경우는 없다. 네트워크에는 항상 오버헤드라는 것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어느 한정된 공간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
멀리 떨어진 지역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것
CSMA/CD라는 프토토콜을 사용해서 통신한다.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의 약자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ollision
)이라고 하며, 콜리전이 발생하지 않았는지를 잘 점검하는 것이 충돌 감지(Collsion Detection
)이다.이더넷처럼 데이터를 보내고 싶을 때 남들이 전송하지 않고 있으면 보내는 것이 아닌, 그 네트워크에서 오직 한 PC, 즉 토큰을 가진 PC만이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실어 보낼 수 있는 것
이더넷은 순서 없이 아무나 통신을 하지만, 토큰링은 토큰을 가진 순서에 따라 통신이 일어난다.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가장 자주 만나는 것이 통신 케이블인데, 그 중에서도 UTP 케이블을 가장 흔하게 사용한다.
UTP 케이블에서 TP는 Twisted-pari
, 즉 ‘꼬인 한 쌍(두 가닥)‘를 의미한다. U는 언쉴드(Unshielded)로 감싸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STP라는 것도 있는데 쉴드로 감싸진 것을 의미하며, 좀 더 비싸고 성능이 좋다고 한다.
케이블을 분리하기 위한 카테고리로써 총 7개의 카테고리가 있으며, 각각의 용도에 따라 다른 케이블 카테고리가 사용된다.
10 Base T
등의 표시법을 사용하는데, 앞의 10이란 숫자는 속도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10Mbps
의 속도를 지원하는 케이블이라는 것이고,Baseband
용 케이블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케이블 종류에는 베이스밴드(Baseband)와 브로드밴드(Broadband)가 있는데, 베이스밴드는 디지털 방식, 브로드 밴드는 아날로그 방식을 뜻한다.케이블의 속도
케이블의 경우 속도가 빨라지면 빨라질수록 전송 거리는 점점 짧아진다.
이 경우 1, 2번과 3, 6번이 서로 바뀌어 들어가게 구성된다.
6옥텟(48bit)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의를 위해 16진수로 표시되어 진다.
2 ^ 4
이므로(48 / 4로 표시), 총 12자리를 갖게된다.TCP/IP로 통신을 하고 통신을 위한 IP 주소를 사용하지만 IP 주소를 다시 MAC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것을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라 한다.
ipconfig/all
을 입력